가게를 어렵게 키워놨는데
건물주가 재계약을 거절하거나, 새로운 임차인을 막아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때 필요한 게 바로 권리금소송입니다.
다수의 부동산소송 경험을 보유한 변호사로써 권리금소송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글을 끝까지 읽어보시면 무조건 도움실겁니다.
권리금소송이란?
권리금은 단순히 가게를 넘길 때 받는 돈이 아닙니다.
내가 만든 영업가치와 고객 기반에 대한 대가입니다.
건물주가 정당한 이유 없이
새 임차인의 입점을 방해하거나 재계약을 거절했다면
임차인은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게 바로 권리금소송입니다.

권리금소송이 필요한 상황
-
임대인이 재계약을 거절하면서 새로운 임차인을 못 들이게 할 때
-
새로운 임차인이 권리금을 주겠다고 했는데, 임대인이 계약을 막을 때
-
건물주가 직접 영업하겠다고 하면서 기존 권리금만 빼앗을 때
-
명도 요구하면서 권리금 보상은 하지 않을 때
이런 경우라면 권리금소송을 통해 보상 가능성을 따져봐야 합니다.
권리금소송에서 중요한 포인트
-
권리금 거래 시도 증거
문자, 카톡, 녹취 등으로 임대인에게 새 임차인을 제안했음을 입증해야 합니다. -
임대인의 방해행위 증거
직접 계약을 막거나 조건을 바꾼 정황이 있어야 합니다. -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적용 여부
보호법이 적용되는 상가인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이 세 가지 증거가 소송의 핵심입니다.

권리금소송 절차
-
임대인에게 내용증명 발송
-
협의 불가 시 손해배상청구소송 제기
-
증거제출 및 감정·조사
-
판결 후 손해배상금 수령
보통 6개월~1년 정도 걸립니다.
증거가 확실할수록 유리하게 진행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계약기간이 끝났는데 권리금 받을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계약 종료 전이라도, 권리금 양도 시도를 막았다면 청구할 수 있습니다.
Q. 구두로 제안했는데 증거가 없어요.
A. 증거가 없으면 인정받기 어렵습니다. 문자, 이메일, 녹취가 중요합니다.
Q. 권리금 금액은 어떻게 산정되나요?
A. 기존 거래 사례, 매출, 시설·위치 등을 기준으로 법원이 판단합니다.
권리금소송은 감정이 아니라 ‘증거 싸움’입니다.
나의 노력과 영업가치를 지키려면, 빠르게 움직여야 합니다.
궁금하신점은 로실드 상담받기를 통해 주시거나,
로실드 게시판에 질문글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